제목 | 신산업 규제개선에 관한 우리나라와 주요국 비교 | ||
---|---|---|---|
등록일 | 2019.07.03 | 조회수 | 315 |
관련협정 | |||
첨부 | |||
신산업 규제개선에 관한 우리나라와 주요국 비교
□ 우리경제는 혁신동력이 추세적으로 약화되면서 경제성장률 둔화 지속
○ 지난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은 2.7%로, 2012년(2.3%) 이후 6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한 데 이어 올해도 2.5% 성장에 그칠 전망
* GDP 성장률(%) : ('14)3.2 → ('15)2.8 → ('16)2.9 → ('17)3.2 → ('18)2.7
- 생산가능인구의 감소, 투자부진,혁신지체 등으로 잠재성장률 역시 둔화되고 있어 우리경제의 미래에 우려를 던져주고 있음
□ 4차 산업혁명 시대 혁신을 주도해야 할 新산업 부문이 규제로 인해 성장 제약
○ 규제혁신을 못한다면 2020년부터 경제성장률이 1% 후반대로 둔화 ( KDI '19.05 )
○ 승차공유, 원격의료, 핀테크 등 新사업모델에 대한 규제가 혁신의 걸림돌로 작용
- 전 세계 스타트업의 70%는 한국에서 불법으로 추진 곤란 (한경시론 '19.05.12 )
○ 규제혁신이 더 지체될 경우 4차 산업혁명 경쟁에서 뒤처질 가능성마저 대두
- 경쟁국들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경쟁우위 확보를 위해 과감한 규제개혁 노력
□ 정부의 규제개혁 노력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규제수준은 매우 높은 수준
○ 1998년 규제개혁위원회를 설립하는 등 규제개혁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규제수준은 국가경쟁력 및 경쟁국 대비 높음
□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우리나라 규제완화 추진의 용이성 및규제완화의 근저에 있는 갈등구조를 사례별로 다른 나라와 비교 분석하 고자함.
○ 우버(승차공유서비스), 개인정보보호, 은산분리, 원격의료 등 사례별로 갈등의 유형, 이해관계 구조,바람직한 해결방안과 그에 대한 외국의 추진사례를 분석
[목차] Ⅰ. 연구배경
붙임 : 첨부사항 표시 (신산업 규제개선에 관한 우리나라와 주요국 비교 1부. 끝.)
출처 : 국제무역연구원
|
|||
다음글 | 다음글이 없습니다. | ||
이전글 | 이전글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