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업의 FTA활용
전 과정의 어려움을 해결해 드립니다.

FTA 정보

FTA 한·베 교역액 30년새 161배 급증…韓수출 9% 차지

2022.06.23 뉴스구분 : FTA 관련국가 : 조회수 : 629

 

 

·베 교역액 30년새 161배 급증수출 9% 차지

 

 

[매일경제]

 

 

반도체·디스플레이·휴대폰 고부가 수출로 관계도 향상

 

남북 베트남이 통일된 1975년부터 한국과 베트남의 관계는 단절됐지만 1992년 외교 관계 수립으로 두 나라는 전기를 맞이했다.

 

이후 양국은 꾸준히 양자 관계를 격상했고 교류와 협력의 폭은 비약적으로 확대됐다. 2001년에는 수교 이래 처음으로 당시 베트남 국가원수인 쩐득르엉 주석이 방한해 '21세기 포괄적 동반자 관계'를 맺고 기존 경제협력 위주에서 벗어나 정치·군사·문화·교육·예술·관광 등의 분야에서 교류를 확대하기로 했다.

 

2009년 한국과 베트남의 관계는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로 다시 한번 강화된다. 이로써 정치·안보 협력, 개발·과학기술 협력, 사법·영사 협력, 사회·문화 협력, 지역·국제무대에서의 협력을 확대하기 위한 계기를 마련하게 된 것이다.

 

20183월 베트남을 방문한 문재인 당시 대통령은 베트남 지도부 4인과 정상회담을 하고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할 것을 제의했다. 2020년 교역 규모 1000억달러 달성 계획 등 6개 분야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20219월미국 뉴욕에서 한국·베트남 정상회담을 개최했다.

 

지난 30년간 양국 경제협력은 비약적으로 확대됐다. 한국의 베트남과의 교역액은 1992년 기준으로 한국 전체 교역액의 0.3%에 불과했다. 하지만 지난 30년간 한국의 대베트남 수출과 수입은 각각 130배와 416배 증가했고, 한국 총수출의 8.8%와 총수입의 3.9%를 베트남이 차지하게 됐다.

 

이로써 베트남은 현재 중국, 미국, 일본에 이은 한국의 4대 교역국에 당당히 이름을 올리고 있다. 특히 한국의 대베트남 해외직접투자(FDI)19921700만달러에서 2019년 약 46억달러까지 270배가량 증가했다.

 

매일경제는 한국과 베트남 수교 15주년인 2007년과 25주년인 2017년에 각각 베트남 수도 하노이에서 글로벌포럼을 개최했다. 특히 2017년 포럼에서는 소재·부품, 에너지 인프라스트럭처, 정보통신기술(ICT) 4차 산업혁명을 기반으로 한 두 나라의 협력 방안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5년이 지난 지금 그 제언은 실질적인 결과로 이어졌다.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가 본격화한 2010년 이후엔 철강판과 무선통신기기가 주요 수출품이었지만, 2020년 이후부터는 반도체, 평판 디스플레이, 무선통신기기가 3대 수출품으로 자리 잡았다. 4차 산업혁명 기반 고부가가치 품목의 교역이 증가한 셈이다. 특히 이들 3대 수출품이 차지하는 비중도 총수출의 50%를 넘어섰다.

 

수입 또한 2000년대까지 석탄과 연체동물 같은 1차 산물이나 의류 등의 비중이 높았지만 지금은 무선통신기기와 컴퓨터 등 고부가가치 품목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도이머이 정책으로 개방 노선을 채택한 베트남은 2007년 세계무역기구(WTO)에 가입했다. 이때부터 복수로 체결한 자유무역협정(FTA)은 베트남을 세계 경제로 더욱 빠르게 편입시키고 있다. 한국과 체결한 FTA로는 한·아세안 FTA(2007), ·베트남 FTA(2015),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2022) 등이 있다.

 

다수의 FTA 체결은 관세뿐 아니라 원산지 규정 등 비관세 장벽 감소로 이어져 교역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 ·베트남 FTA 체결 후 6년간 두 나라의 교역액은 2015376억달러에서 2021807억달러로 114% 증가했다. 특히 올해부터 발효된 RCEP는 전 세계 교역의 약 32%를 차지하는 15개 회원국 간 단일 원산지 규정도 적용하기 때문에 한국과 베트남 간 교역·투자를 더욱 활성화시킬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김제국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동남아대양주팀 전문연구원은 "코로나19 이후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보건·백신과 기후변화, 수자원, 사이버 보안을 포함한 신안보 등의 부문에서 더욱 가시적인 협력을 통해 베트남의 전략적 파트너로서 한국의 중요성을 제고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서진우 기자 jwsuh@mk.co.kr, 전범주 기자 bomju@mk.co.kr, 오찬종 기자 ocj2123@mk.co.kr, 박민기 기자 mkp@m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