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A 정보
정책 2023년 4월 수출입 동향
2023년 4월 수출입 동향
- 수출 496억 달러(△14.2%), 수입 522억 달러(△13.3%), 무역수지 26억 달러 적자
- 무역수지는 1월 이후 적자 규모가 점차 개선되는 추세
[총괄] '23년 4월 수출은 전년보다 14.2% 감소한 496.2억 달러, 수입은 13.3% 감소한 522.3억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무역수지는 26.2억 달러 적자를 기록하였다.
[수출] 4월 수출은 글로벌 경기회복 지연, 반도체 업황 부진, 조업일수 감소(△1.0일), 작년 4월 수출이 역대 4월 중 최고 실적(578억 달러)을 기록한 데 따른 逆기저효과 등으로 감소하였다.
[품목별 수출] 자동차(+40.3%), 선박(+59.2%), 일반기계(+8.1%) 수출은 증가하였으나, 반도체(△41.0%), 디스플레이(△29.3%)등 IT품목, 석유제품(△27.3%), 석유화학(△23.8%), 철강(△10.7%) 등의 수출은 감소하였다. 최대 수출품목인 반도체의 가격 하락 지속, 유가 하락에 따른 석유제품·석유화학 단가하락, 철강 가격 하락이 4월 수출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지역별 수출] 자동차 수출 급증과 인프라 투자와 관련된 일반기계 등의 수출이 증가한 EU(+9.9%)와 중동(+30.7%)에 대한 수출은 증가세를 이어갔으나, 반도체 수출 비중이 높은 중국(△26.5%), 아세안(△26.3%) 등에 대한 수출은 감소하였다. 글로벌 경기회복 지연 등으로 중국과 베트남의 수입수요 둔화가 이어지고 있는 점이 對중국과 對아세안 수출 감소에 주된 영향을 주었다. 또한, 미국에 대한 수출은 '22.4월의 수출 호조(96억 달러, +27.1%)에 따른 逆기저효과로 소폭 감소(△4.4%)하였다.
[수입] 한편, '23년 4월 수입은 원유(△30.1%), 가스(△15.5%)등 에너지(△25.8%)수입이 감소함에 따라 13.3% 감소하였다. 에너지 외에도 반도체, 철강 등 원부자재 수입도 감소세를 이어갔다. 다만, 우리 첨단전략산업 생산에 중요한 반도체 장비와 이차전지 소재(수산화리튬 등) 수입은 증가하였다.
[무역수지] '23년 4월 무역수지는 26억 달러 적자를 기록하였다. 다만, 무역적자 규모는 지난 1월 이후 계속해서 개선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