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업의 FTA활용
전 과정의 어려움을 해결해 드립니다.

FTA 정보

FTA 한- GCC* 자유무역협정(FTA) 협상 타결

2023.12.28 뉴스구분 : FTA 관련국가 : 조회수 : 2940

한- GCC* 자유무역협정(FTA) 협상 타결

 

 

- 사우디 포함 GCC 6개국과의 FTA 체결로 '신(新) 중동붐' 확산을 위한 법적·제도적 기반마련과 함께 중동·아프리카 진출 확대 환경 조성 

GCC에 대한 상품·서비스 시장접근 확대와 더불어 높은 수준의 디지털 무역 및 지재권 규범 합의로 우리 상품·기업의 안정적 진출 여건 마련

석유·액화천연가스(LNG) 등 에너지·자원의 안정적 확보 및 수소바이오경제헬스케어 등 향후 GCC와 협력 유망 분야에서 구체적인 협력 강화 합의

 

 

 

걸프협력이사회(Gulf Cooperation Council) : 사우디아라비아아랍에미리트쿠웨이트카타르바레인오만 6개국으로 구성된 관세동맹 형태의 경제협력체

 

산업통상자원부 안덕근 통상교섭본부장은 12월 28(서울에서 「자심 모하메드 알 부다이위」(Jassim Muhammad Al-Budaiwi) GCC 사무총장과의 한-GCC 장관회담 계기에 한-GCC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을 최종 타결하고 이를 확인하는 공동선언문에 서명했다.

 

-GCC FTA는 우리나라가 체결한 25번째 FTA(협상 타결 기준)이며 아랍권 국가와는 지난 10월 타결된 한-아랍에미리트 CEPA에 이어 두 번째로 타결한 FTA이다. GCC는 싱가포르 및 EFTA와는 FTA를 체결*하였으며 현재 영국중국일본 등과 FTA 협상을 진행 중**이나 EU, 호주인도터키 등과의 FTA 협상은 중단된 상태이다이번 한-GCC FTA 협상 타결은 우리나라가 거대 GCC 시장에 비교우위를 가지고 진출하면서 제반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GCC 기체결 FTA) 싱가포르 ‘08년 체결 ’13년 발효, EFTA ‘09년 체결 ’14년 발효

** (영국) ‘22~’23년 동안 5회 협상 진행 (중국) ‘05~’22년까지 10회 협상 진행 (일본) ‘06~‘09년 동안 2회 협상 진행 이후 중단, ’23.7월 재개 선언

 

안 본부장은 지난 10월 아랍에미리트와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을 타결하고 연이어 이번 GCC와의 FTA 타결로 新 중동붐’ 확산의 주요한 계기가 되었으며 우리나라와 중동 간 협력 관계가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었다고 평가하며, “바로 내년부터 GCC 6개국과의 교역·투자 확대와 함께 GCC와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중동 전역과 인접해 있는 아프리카 권역까지 산업 및 에너지·자원 분야에서 협력을 집중적으로 추진함으로써 통상과 산업·에너지 간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GCC FTA 협상은 2008년에 제1차 공식협상이 개최되었으나, 2010년 GCC측이 FTA 정책 재검토를 이유로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EU, 일본중국호주 등과 진행 중이던 모든 FTA 협상을 중단하면서 한-GCC FTA 협상도 10년 이상 중단되었다가 2022년 협상이 재개되었다올해 우리나라와 GCC 주요국과의 정상회담이 연이어 개최*되면서 한-GCC FTA 협상의 조속한 타결 필요성에 대한 강한 공감대가 형성되었음을 계기로 2차례 공식협상**과 다수의 회기간회의 및 수석대표회의를 집중적으로 개최한 결과로서 오늘 타결을 발표한 것이다.

 

 

 

원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