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업의 FTA활용
전 과정의 어려움을 해결해 드립니다.

FTA 정보

FTA 중국 마스크팩 시장동향

2024.06.26 뉴스구분 : FTA 관련국가 : 중국 조회수 : 2229

중국 마스크팩 시장동향

[KOTRA KOTRA 해외시장뉴스]

중국 스킨케어의 세분화(精準護膚)' 트렌드, 항노화 제품 인기

스트레스 완화 및 자기 보상을 위한 마스크팩 소비 추세

 

상품명 및 HS 코드

 

상품명                HS CODE

마스크팩              3307.90

 

시장 동향

 

중국 경제가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의 소비 이념이 변화하고 비주얼 경제(??經濟)’가 대중화되기 시작했으며, 화장품에 대한 수요도 증가했다. 화장품 시장의 급속한 성장에 힘입어 중국을 포함해 전 세계 마스크팩 시장 규모도 성장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23년까지 전 세계 마스크팩 시장 규모는 2074000만 달러(286741억 원)에 달했으며, 그중 중국 마스크팩 시장 점유율이 약 43.5%로 세계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일본, 한국, 미국, 영국이 각각 20.1%, 7.3%, 4.0%, 1.9%2~5위를 차지했다.

 

2023년 중국 마스크팩 시장 규모는 660억 위안(125499억 원)에 달해 화장품 시장 전체 규모의 8.14%를 차지했다. 2018년에서 2023년 중국 마스크팩 시장의 성장률은 6.7%이며, 이에 따르면 마스크팩 시장 규모는 2025년까지 750억 위안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재국 수입 동향 및 대한(對韓) 수입 규모

 

2023년 중국의 마스크팩 수입액은 2322000달러(321028만 원)로 전년 대비 2.8% 감소했다. 2023년 중국의 마스크팩 수입액 상위 10개 수입 대상은 미국, 일본, 스페인, 프랑스, 영국, 싱가포르, 이탈리아, 한국, 인도, 대만 순이었다. 상위 10개국의 수입액은 전체 수입액의 94.2%를 차지했다. 이 중 한국에서 수입된 마스크팩의 총액은 54000만 달러(7466억 원)에 달해 전체 수입액의 2.3%를 차지했으며 수입액은 전년 대비 50% 증가했다.

 

중국 마스크팩 시장 업계 동향

 

중국 마스크팩 제품은 주로 패치형 마스크팩(貼片式面膜) 제품과 도포형 마스크팩(塗抹式面膜) 제품으로 나뉘며, 주요 기능은 수분 공급, 미백, 항노화, 피부재생 등이 있다. 중국에서 인기 있는 마스크팩은 대부분 항노화 및 피부재생 효과에 중점을 두고 있다. 또한, 소비자들은 저렴한 마스크팩이 아닌 프리미엄 기능성 마스크팩 제품을 더 선호하는 추세다.

 

중국 마스크팩 유통 구조

마스크팩 산업 체인을 살펴 보면, 업스트림에는 Bluomage Biotech, CLARIANT 등의 원료공급업체, MERCK, RISDON 등의 포장재공급업체 및 HKKOLMAR, RUOYUCHEN 등의 제조업체 등이 있다. 미드스트림에는 SK-II, Kiehl's, CHANDO, PROYA 등의 마스크팩 브랜드, 다운스트림에는 WATSONS, LOIYAR등의 유통업체, Lily&Beauty, UCO 등의 대리점, 온라인·오프라인 전자상거래 플랫폼, 소비자 등이 포함된다.

 

관세율 및 인증 절차

마스크팩(HS Code: 3307.900) 기준의 대한국 수입 관세율은 아래와 같다.

 

<중국 마스크팩 대 한국 관세율>

 

Hs Code             MFN(2024)        FTA(2024)         APTA (2024)

3307.9000               3.0%                5.8%                2.0%

 

중국 마스크팩 수출의 경우, CCC 강제 인증*(3c?製認證)이 필요하지 않다. 다만, 국가 표준 및 산업 표준을 충족해야 하며, 자발적으로 유기농 인증, 전문 인증, 무동물실험 인증 등 마스크팩 관련 인증을 진행할 수 있다.

 

* CCC 강제 인증(?製認證): China Compulsory Certification, 중국 강제 제품 인증

 

정책 지원

 

최근 몇 년 동안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中國國家藥品監督管理總局)은 화장품 생산 업체의 표준화된 관리를 더욱 강화했다. 관리국은 화장품 산업 관련 아래와 같이 정책을 발표한 바 있다.

 

시사점

 

중국의 화장품 시장에서 볼 때, 항노화 제품은 여전히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마스크팩 브랜드도 항노화 기능을 가진 제품을 다수 출시하고 있다. 최근 항노화에 대한 효능이 세분돼 스킨케어의 세분화(精準護膚)’ 추세가 이루어지고 있다. 2023스킨케어의 세분화(精準護膚)’ 키워드 검색량은 전년 대비 33.6% 증가했으며, 관련 키워드에는 마스크팩, 정밀, 항노화 등이 있다.

 

지난 몇 년 동안 중국 화장품 시장은 화장품의 원료를 중요시하는 원료 열풍이 불었고, 이는 마스크팩 시장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화장품에서 많이 사용되는 재조합 콜라겐, 프록실린, 고리형 펩타이드 등 주요 원료는 마스크팩 분야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마스크팩에 사용되는 주요 성분 중 히알루론산, 나아신아마이드, 가수분해콜라겐이 함유된 제품의 성장률이 가장 높으며, 중국 마스크팩 제조업체는 자체 특허 성분을 사용한 마스크팩을 생산하는 데 박차를 가하고 있다.

 

최근 중국의 조사기관 용호설(用戶說)의 보고서 따르면, 최근 중국 마스크팩 소비자들은 자기 보상스트레스 완화를 위해 마스크팩을 소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마스크팩을 소비하는 조사 대상자의 70%가 마스크팩을 통해 감정을 조절하고 스트레스를 완하하는 중요한 도구라고 인식한다고 답했다. 특히 밤샘 근무가 많아 피부관리에 소홀할 수밖에 없는 직장인들의 경우 평균 15분 정도 투자해 마스크팩을 함으로써 피부를 개선할 수 있어 많이 사용하는 추세다. 또한, 조사 대상자 중 Z세대 응답자의 67%마스크팩 구매 시 식물 성분과 지속적인 향기를 중요시한다라고 답했다.

 

중국 마스크팩 시장은 성숙기를 맞아 레드오션 시장이었으나, 최근 마스크팩이 소비자에게 일상 속 새로운 도구가 됨으로써 소비 트렌드로 자리 잡음에 따라 향후 새로운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소비자의 소비 트렌드와 생활 환경의 변화에 맞춘 마스크팩을 지속 개발해 마케팅 전략을 세운다면 여전히 성장 기회는 계속될 것으로 기대된다.

 

KOTRA KOTRA 해외시장뉴스